훈련 계획을 조정하는 법
훈련 계획을 빼먹게 됐을 때의 대처.
1. 아프거나 부상일 때
회복하는데도 많은 에너지가 들어 그냥 쉬는 것 과는 다르다. 프로그램 쉰 부분 부터 시작하되 강도를 조금 낮춰 몸상태를 봐가며 조절할 것.
1. 아프거나 부상일 때
회복하는데도 많은 에너지가 들어 그냥 쉬는 것 과는 다르다. 프로그램 쉰 부분 부터 시작하되 강도를 조금 낮춰 몸상태를 봐가며 조절할 것.
2. 휴가/출장으로 빼먹었을 때.
휴가/출장은 휴식기간이 될 수도 있지만, 오히려 더 고생하는 경우도 많다. 몸상태를 보며 아래 방법대로 훈련 프로그램에 복귀할 것.
2-1. 하루나 이틀 빠졌을 때.
큰 문제될 건 없다. 훈련을 멈춘 지점에서 다시 시작하되, 몸 상태에 따라 강도를 조절할 것.
2-2. 일 주일 정도.
휴식 주였다면 큰 문제 없이 다음 스케쥴로 넘어가도 된다. 강도를 올려가는 주 였다면, 훈련을 멈춘 지점에서 시작하되, 너무 힘들다 싶으면 2-3의 방법을 따르자.
2-3. 일 주일 이상
일 주일 이상 훈련 프로그램을 따르지 못했다면, 훈련의 성과가 퇴보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훈련을 멈춘 날 부터 쉰 날짜 만큼 뒤로 돌아가서 시작해 보자. (예: 훈련 20일 째에 시작해서 8일을 쉬었다면, 12일째 프로그램으로 되돌아가기.)
휴가/출장은 휴식기간이 될 수도 있지만, 오히려 더 고생하는 경우도 많다. 몸상태를 보며 아래 방법대로 훈련 프로그램에 복귀할 것.
2-1. 하루나 이틀 빠졌을 때.
큰 문제될 건 없다. 훈련을 멈춘 지점에서 다시 시작하되, 몸 상태에 따라 강도를 조절할 것.
2-2. 일 주일 정도.
휴식 주였다면 큰 문제 없이 다음 스케쥴로 넘어가도 된다. 강도를 올려가는 주 였다면, 훈련을 멈춘 지점에서 시작하되, 너무 힘들다 싶으면 2-3의 방법을 따르자.
2-3. 일 주일 이상
일 주일 이상 훈련 프로그램을 따르지 못했다면, 훈련의 성과가 퇴보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훈련을 멈춘 날 부터 쉰 날짜 만큼 뒤로 돌아가서 시작해 보자. (예: 훈련 20일 째에 시작해서 8일을 쉬었다면, 12일째 프로그램으로 되돌아가기.)
그리고 자세한건 코치한테 물어보세요.
원문은 여기
원문은 여기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