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ram force 22용 Power2Max 장착
이번에 Trek Madone으로 기변을 하게 되면서 Rotor 3d+용 파워미터는 비비셀 규격때문에 못쓰게 되었다
(얄미운 BB90 규격 ㅠㅠ)
어쩔 수 없이 쓰던 파워미터는 팔고, 기왕에 새로 나오는 p2m type s를 구매하기로 했다.
시마노 구동계용으로는 나오질 않고, rotor 3d를 사기도 그랬는데, 마침 type s에는 sram force 22용 유닛이 나오길래 일단 구동계를 force22용으로 해서 조립해 놓고 예판 발송을 기다렸다.
기나긴 기다림 끝에 아마도 국내 최초(?)로 조립 개시!
가볍게 gxp 크랭크를 분리하고, t10 렌치로 암과 스파이더 분리. 체인링 마저 분리하고 조립을 하는데... 어라?

체인링이랑 크랭크암 각도가 안맞다???
그러고 보니 새로나온 포스22는 레드22와 유사한 체인링을 써서 히든볼트가 크랭크암 쪽으로 들어가는지라,
일반적인 체인링과는 볼트 위치가 다르게 나온다.

원래 포스 크랭크의 볼트 위치
위와 같이 히든볼트 방식은 크랭크암 뒤쪽으로 볼트가 들어감.
세팅해 보니 변속 테스트할 때는 문제 없었지만, 체인이 바깥쪽으로 빠지면 크랭크암에 끼이는 위험이 있다 ㅠㅠ
아우터는 non-hidden방식으로 파는 체인링이 따로 있고, 이너는 공용으로 쓸 수 있게 되어있다.
Power2Max사에 문의해 보니 s500 크랭크 호환 및 대다수의 체인링에 대응하기 위해 일부러 그렇게 했다고 ㅠㅠ
일단 페어링 하고 캘리브레이션 하고 테스트 라이드~

파워도 잘 나오고, 좌우 밸런스도 잘 나오고 드디어 그동안 없이 살던 불편함을 덜었다 ㅠㅠ
이제 제대로 ftp 테스트도 하고 트레이닝도 열심히!
(얄미운 BB90 규격 ㅠㅠ)
어쩔 수 없이 쓰던 파워미터는 팔고, 기왕에 새로 나오는 p2m type s를 구매하기로 했다.
시마노 구동계용으로는 나오질 않고, rotor 3d를 사기도 그랬는데, 마침 type s에는 sram force 22용 유닛이 나오길래 일단 구동계를 force22용으로 해서 조립해 놓고 예판 발송을 기다렸다.
기나긴 기다림 끝에 아마도 국내 최초(?)로 조립 개시!
가볍게 gxp 크랭크를 분리하고, t10 렌치로 암과 스파이더 분리. 체인링 마저 분리하고 조립을 하는데... 어라?
체인링이랑 크랭크암 각도가 안맞다???
그러고 보니 새로나온 포스22는 레드22와 유사한 체인링을 써서 히든볼트가 크랭크암 쪽으로 들어가는지라,
일반적인 체인링과는 볼트 위치가 다르게 나온다.
원래 포스 크랭크의 볼트 위치
위와 같이 히든볼트 방식은 크랭크암 뒤쪽으로 볼트가 들어감.
세팅해 보니 변속 테스트할 때는 문제 없었지만, 체인이 바깥쪽으로 빠지면 크랭크암에 끼이는 위험이 있다 ㅠㅠ
아우터는 non-hidden방식으로 파는 체인링이 따로 있고, 이너는 공용으로 쓸 수 있게 되어있다.
Power2Max사에 문의해 보니 s500 크랭크 호환 및 대다수의 체인링에 대응하기 위해 일부러 그렇게 했다고 ㅠㅠ
일단 페어링 하고 캘리브레이션 하고 테스트 라이드~
파워도 잘 나오고, 좌우 밸런스도 잘 나오고 드디어 그동안 없이 살던 불편함을 덜었다 ㅠㅠ
이제 제대로 ftp 테스트도 하고 트레이닝도 열심히!
댓글
댓글 쓰기